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낮은 배당과 한국 증시의 변동성

by ๑ᴖ◡ᴖ๑^^✧•̀.̫•́✧ 2021. 10. 2.

 

썸네일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최저 수준의 배당을 주는 나라에 속합니다. 이렇게 낮은 배당이 지급되는 이유와 낮은 배당으로 인한 한국 증시의 변동성 영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증시의 변동성이 큰 이유 중 하나인 낮은 배당 문제

 

우리나라의 증시가 가지는 특징 중 하나는 수익률 분포가 꽤나 왔다 갔다 한다는 점입니다. 선진국들의 증시를 보면 지속적인 성장의 틀이 잡혀있는데 반해 국내 증시는 흔들림이 잦아 수익률에 대한 예측이 상당히 어려운 편입니다. 또한 증시 통계에서 마이너스 수익 확률이 40%가 넘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특징을 가지는 여러 이유 중 하나로 국내의 낮은 배당도 꼽기도 합니다. 최근 20년간의 회사채 금리와 배당 수익률을 보면 회사채 금리와 상관없이 배당 수익률은 1~2% 범위에 갇혀 있고 그나마 급격한 주가 하락을 경험했던 2008년에 조금 높아졌지만 이는 급락한 주가의 영향일 뿐이었습니다.

 

한국의 배당 수익률은 약 1.2%로 세계 주요 주식시장 36곳 중 33위로 세계에서 최저 수준의 배당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낮은 배당이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이처럼 낮은 배당 수익률은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이익이 늘어나는 것과 투자자의 이익과는 연관성을 갖지 못하게 만들게 됩니다. 즉 기업 성장이 결국 그 기업 주가의 상승으로 연결된다는 믿음을 가지지 못하게 합니다. 아무리 기업이 성장해도 배당이 적다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업의 장기적 성장보다는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테마에 따라 이동하게 될 뿐입니다. 

 

또한 높은 배당을 주는 기업의 경우 급작스런 하락장에서도 든든한 배당이 있다는 믿음에 저가매수를 기대하게 만듭니다. 연간 높은 배당을 주는 기업이 급락할 경우 이때 저가매수를 하면 배당 수익률이 더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국내 기업들의 낮은 배당은 결국 투자자를 장기간 묶어 놓을 수 없기 때문에 테마와 시황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게 되고 이는 자연스럽게 높은 변동성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낮은 배당이 증시의 변동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이유입니다.

 

국내 기업이 낮은 배당을 주는 이유

 

그럼 국내 기업들은 왜 낮은 배당을 지급하는 것일까요?

경영학 박사 홍춘욱은 국내 기업이 배당에 인색한 이유를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꼽았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일본 등 강대한 경쟁자들 사이에 끼어 살아남고 승리하기 위해 항상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야하는 기업에게 한 번의 실패는 상당한 리스크가 됩니다. 

 

끝없이 대규모 투자를 지속해야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살아남기 위해 외부 자금의 유출을 줄이고 기업 내 유동성 자금을 최대한 보유해야만 하는 입장이었고 기업의 성과가 안정적이지 않고 영업 이익률이 떨어진 최근에 옳은 판단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국내 증시의 안정과 투자자의 장기적인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배당 수익률을 높여야 하고 이는 수출 회복과 이로 인한 주기적 영업이익의 안정적 반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상으로 낮은 배당과 한국 증시의 변동성 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 보았고 국내 기업이 이런 낮은 배당을 줄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