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

부동산 재테크 :: 급매 부동산 주의사항

by ๑ᴖ◡ᴖ๑^^✧•̀.̫•́✧ 2021. 9. 1.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라 주택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너도나도 청약에 뛰어들어 청약을 통한 아파트 분양의 벽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청약을 통하지 않고 주택을 매입할 때 급매물을 많이 찾게 됩니다. 급매물로 나온 주택을 구입할 때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급매물 주택

 

의외로 주택의 급매물은 잘만 찾아보면 좋은 물건이 있습니다. 급매물은 어떤경우에 나오게 될지를 먼저 알아야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정할 수 있게 됩니다.

 

주택의 급매물은 건물에 특별한 하자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주택의 소유자가 급하게 돈을 융통해야하는 등 자금의 문제 발생, 현재 주택보다 더 좋은 환경이나 투자가 되는 물건이 나타나 급하게 갈아타야 할 상황, 부모의 증여, 해외 이주 등 개인적인 사정 등 시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는 전세 만기일이 많이 남은 주택의 경우 같은 단지내 같은 타입의 주택보다 가격을 낮춰 급매로 내놓기도 합니다. 실거주가 힘든 상황이라 조건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가격을 내려받을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급매물 주택의 경우 상황에 따라 주의사항과 특징들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급매 주택 구입 주의사항 및 특징

 

급매 주택의 상황에 따른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외 이민, 직장 이동 등 개인적인 사정에 의한 급매 : 보통 개인적인 사정의 경우 다른 급매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낮아 안전한 편. 개인적인 사정은 시간에 쫓기는 경우가 많아 가격 절충이 가능하기도 함.
  • 주담대가 많고 자금 경색등으로 인한 급매 : 전세 대츌을 많이 안은 주택의 경우 주담대가 힘들 수 있어 한도 및 가능 여부, 승계 가능 여부 등을 미리 확인해야 함.
  • 주택의 권리관계가 복잡한 급매 : 소유자의 잦은 변경과 저당, 가압류 등의 여러 권리관계가 얽혀있는 경우는 경매를 피하기 위한 급매물인 경우가 많아 구입을 피하는 것이 좋음 

 

주택 구입을 위한 시세 파악은 현장조사부터

 

급매물 등 구입하려는 주택을 정하면 주변 시세부터 조사해 매입하는 주택의 가격이 적정한지를 따지고 최적의 타이밍을 노려야 합니다. 최근 거래되고 있는 시세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등에서 확인하고 직접 발품을 팔아 주변 부동산을 돌아다니며 정보를 모아야 합니다. 

 

괜찮은 급매물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부동산을 자주 방문하고 수시로 좋은 물건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현장조사와 발품을 많이 팔수록 교통, 교육, 조망, 일조 등을 쉽게 파악해 급매물인지 판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댓글